책 <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> 요약 - 1장 코드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
·
ETC/책
가독성의 기본 정리코드는 다른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는 데 들이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.이해를 위한 시간다른 사람이 내가 작성한 코드를 읽고 이해하는 데 걸리는 시간. (다른 사람은 미래의 내가 될 수도 있다.)좋은 코드를 위해 최소화해야 하는 값.어떤 사람이 내 코드를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그가 코드를 자유롭게 수정하고, 버그를 짚어내고, 수정된 내용이 내가 작성한 다른 부분의 코드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 수 있을 때 해당 코드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. 분량이 적으면 항상 더 좋은가?분량이 적다고 해서 항상 더 좋은 코드가 아니다.다음의 한 줄짜리 코드는assert((!bucket = FindBucket(key))) || !bucket -> IsOccupied())아래의 코드를..
2024년 신입 개발자 회고
·
ETC/회고
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 (2024.01-2024.04)스파로스 아카데미와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두 번의 교육을 받은 후 감사하게도 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제안이 들어왔다. 이 프로젝트는 이전에 만들다가 중단된 프로젝트였다. 이전에 작성된 코드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들어갔다. 총 네 명이 프론트엔드 1명과 백엔드 1명씩 두 그룹으로 관리자페이지, 학생페이지를 개발했다.검색 기능 개선을 위해 Querydsl을 사용하고 출석 체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NFC를 도입했다. 총 200개의 API를 만들었다. 마음이 맞고 소통이 잘되는 팀원들과 개발하면서 프로젝트 기간 동안 재밌게 진행했다. 취업 ( 2024.05-2024.12)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가 끝나가면서 공백기가 싫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