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 (2024.01-2024.04)
스파로스 아카데미와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두 번의 교육을 받은 후 감사하게도 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제안이 들어왔다. 이 프로젝트는 이전에 만들다가 중단된 프로젝트였다. 이전에 작성된 코드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들어갔다. 총 네 명이 프론트엔드 1명과 백엔드 1명씩 두 그룹으로 관리자페이지, 학생페이지를 개발했다.
검색 기능 개선을 위해 Querydsl을 사용하고 출석 체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NFC를 도입했다. 총 200개의 API를 만들었다. 마음이 맞고 소통이 잘되는 팀원들과 개발하면서 프로젝트 기간 동안 재밌게 진행했다.
취업 ( 2024.05-2024.12)
학습관리시스템 프로젝트가 끝나가면서 공백기가 싫어서 바로 취업을 했다. 어디든 가서 현업에서 경험을 쌓고 이직하자는 생각이었다. 취업 후 받은 업무는 1. 통계 대시 보드 개선 기획, 2. JSP -> React + TypeScript 차세대 프로젝트 크게 두 가지이다.
1. 통계 대시 보드 개선 기획
통계 대시 보드 개선 기획을 시작한 이유는 기존 서비스의 통계 대시 보드에는 무의미한 그래프들만 있어서 통계 대시 보드를 활용해서 서비스를 개선한다던가 기능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.
먼저 각 그래프들이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조사하고 유튜브, 페이스북 등 기업에서는 통계 대시 보드를 조사했다.
여러 기업들을 참고해서 통계 대시 보드를 기획하고 각각의 그래프에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를 작성했다. 기획하면서 여러 사람들에게 설득력 있게 기획 의도를 작성하는 게 어렵다는 걸 느꼈다. 논리적으로 말하고 글을 작성하는 연습을 해야겠다고 결심했다.
2. JSP -> React + TypeScript 차세대 프로젝트
JSP로 되어있는 서비스를 React + TypeScript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.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두 가지 기능을 만들었다. 라이브러리는 JS로 되어있어서 React와 TypeScript에 맞게 수정했다. 라이브러리를 서비스에 맞게 커스텀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. 개발하면서 질문을 할 때는 어디까지 알고 어디까지 모르고를 파악한 후 질문을 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.
깨달은 점
- 팀원들과 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잘 작성된 문서가 필요하다.
- 질문을 할 때 내가 모르는 것과 아는 것 알고 싶은 걸 명확히 해서 질문을 해야 한다.
2025년의 목표
- SQLD 자격증 취득
- 정보처리기사 취득
- 토이 프로젝트 진행